[김대호의 경제읽기] '콘텐츠 공룡' 카카오엔터 태동…엔터 판도 바뀌나?<br /><br /><br />국내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새로운 공룡 기업이 등장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M이 합병, 종합 콘텐츠 업체인 '카카오엔터테인먼트'로 거듭나게 된건데요.<br /><br />합병 배경 짚어봅니다.<br /><br />"미국이 돌아왔다"며 새 질서를 예고했던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산 제품을 먼저 구매한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의 '미국 우선주의'를 떠올리게 하는데요, 우리 수출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네, 좀더 자세한 내용 김대호의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, 오늘도 김대호 박사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 카카오에서 웹툰과 음악, 드라마 등 콘텐츠 분야 자회사들이 뭉친 신규 합병법인 '카카오엔터테인먼트'가 출범할 전망입니다. 각각 매출 규모가 수천억원에 달하는 카카오 자회사 간 합병은 처음이라던데 합병 배경은 무엇인가요? 합병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면 카카오 엔터의 기업 가치는 어떠할까요?<br /><br /> 업계에서는 이번 합병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카카오와 네이버 간의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카카오가 합병으로 콘텐츠 사업을 키운다면 네이버는 어떤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나요?<br /><br /> 최근 코로나19로 콘텐츠 소비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넷플릭스 등 OTT 업체들이 검증된 'K-콘텐츠'에 주목하고 있는데요. 네이버·카카오가 앞으로 엔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 풍부한 지식재산권(IP)과 탄탄한 플랫폼이 결합될 경우 시너지 효과는 어떻게 예상해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카카오엔터는 올해 기업공개(IPO)도 준비 중이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는데요. 콘텐츠 시장에 이어 증시에는 어떤 여파가 있을까요? 또 한번 공모주 돌풍이 일어날까요?<br /><br /> 취임 이후 '트럼프 지우기'에 나섰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연방기관은 미국 제품 구매를 우선하겠다는 기조를 천명하고 이런 내용이 담긴 '바이 아메리칸'(Buy American·미국제품 구매) 행정명령에 서명했는데요. 내용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바이아메리칸을 보면 트럼프 행정부의 '미국 우선주의(America First)'가 떠오른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와 유사하다는 우려를 예상했을텐데 바이든이 '바이 아메리칸'을 추진하는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이번 행정명령이 시행될 경우 우리돈으로 600조가 넘는 대규모 연방 정부 조달 시장에서 해외기업이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우리 수출에도 여파가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